728x90
반응형
SMALL
부동산용어 방화구획이란 무엇인가?
방화구획이란 무엇인가?
방화구획이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건축물의 특정 부분과 다른 부분을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또는 방화문으로 구획하는 것을 말합니다. 방화구획은 화재의 발화지점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방화구획의 종류와 설치기준
방화구획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면적별 구획: 건축물의 층수에 따라 각 층의 바닥면적을 일정한 크기로 구획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층 이하의 건축물은 바닥면적 1,000㎡ 이내마다 구획하고, 11층 이상의 건축물은 바닥면적 200㎡ 이내마다 구획해야 합니다.
- 층별 구획: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은 내화구조로 된 바닥으로 구획하는 것입니다. 즉, 아래층과 위층이 연결되어 있는 계단실이나 엘리베이터 승강로에는 반드시 방화문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 수직관통부 구획: 계단실,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PIT, 린넨슈트 등 층과 층사이를 관통하는 건축물은 방화구획해야 합니다. 이때, 급수관, 배전관, 환기관 등이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틈을 내화충전재료로 채워야 합니다.
- 용도별 구획: 하나의 건축물 내에 내화구조 부분과 비내화구조 부분이 공존하는 경우, 이들 경계부분을 상호 방화구획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복층형 공동주택, 주차장, 대형회의장, 강당, 스카이라운지, 로비 등이 있습니다.
방화구획의 장점과 단점
방화구획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지연시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화재로 인한 건축물의 파괴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화재로 인한 연기나 유독가스의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화재로 인한 소방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방화구획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축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건축물의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건축물의 디자인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방화구획의 중요성과 필요성
방화구획은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방화구획은 건축법에 따라 각 건축물의 용도, 규모, 구조 등에 맞게 설치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방화구획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만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방화구획은 건축물의 생명주기 전반에 걸쳐 화재로부터 건축물과 인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